electric potential 4

[081-25-05] 연속 전하 분포에 의한 전위 - Electric Potential due to Continuous Charge Distributions

연속 전하 분포에 의한 전기장을 구할 때와 동일하게 전하가 분포되어 있는 대상을 잘게 쪼개고 쪼개진 각각의 덩어리가 형성하는 전위를 더하는 (적분하는) 과정을 통해 궁금한 위치의 전위를 계산 할 수 있다. 또는, 가우스 법칙이든 뭐든.. 아무튼 어떤식으로든 궁금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장을 알고 있거나, 비교적 쉽게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면, 이를 이용해 전위를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교재에는 문제 풀이 전략 이라는 이름으로 한 페이지를 글로 빼곡히 채워놓고 있는데,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연습만이 살길이다. 전기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래 식의 피적분 함수에 해당하는 항들을 얼마나 잘 채우는지가 중요하다. 몇 가지 예제를 알아보자. 예제 25.4) 쌍극자(Dipole) 에 의해 A) 위치 P 에 형성되..

일반물리 2023.10.11

[078-25-03] 전자기학 : 점전하에 의한 전위와 포텐셜 에너지 - Electric Potential and Potential Energy Due to Point Charges

그림과 함께 시작. 이제 우리는 양전하 q 가 그 주변 공간에 전하 q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갖는 전기장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고있다. 이번엔 원천전하 q 로부터 r 만큼 떨어진 위치의 전위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아보자. 위 그림 A, B 두 지점의 전위차는 오른쪽의 적분을 직접 구해보기 위해 전하 q 에 의한 전기장을 대입하면, 여기서 우변의 두 벡터 r 과 ds 의 내적은 다음의 과정을 거쳐 dr 이 된다. 단위벡터 r 은 크기가 1 이니까 첫번째 등호가 성립하고, ds cos 세타 는 벡터 ds 의 r 방향 성분과 같은 의미니까 두 벡터의 내적은 dr 이 된다. 말은 좀 어려울 수 있지만 위 그림을 보면 금방 이해 될거다. 이제 우리는 전위차를 구하기 위한 적분의 피적분 함수를 완전히 스칼라로 쓸 ..

일반물리 2023.04.11

[077-25-02] 전자기학 : 균일한 전기장 내부의 전위차 - Potential Difference in a Uniform Electric Field

이전 글에서 다룬 전위와 전위차를 좀 더 잘 이해해보자. 그림 먼저. 위 그림의 (a) 는 균일한 전기장 속에 있는 양전하 q 를 (b) 는 중력장 속에 있는 질량 m 을 의미한다. * 양전하를 주인공으로 설정하면 이해가 쉬운데, 전기에 관한 대부분의 내용은 양전하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 전자기학에서 양, 음은 양수, 음수처럼 절대적인 것 보다는 반대의 성질을 갖는다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는게 훨씬 편하다. 실제로 그렇기도 하고. (a) 에서 A, B 두 지점간의 전위차는 아래의 과정으로 계산 할 수 있다. 전기장 벡터와 변위벡터 (ds) 의 방향이 같아서 아주 간단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앞에 붙어있는마이너스 부호는 A 지점의 전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생각해보면 너무 자연스러운..

일반물리 2023.02.14

[076-25-01] 전자기학 : 전위와 전위차 - Electric Potential and Potential Difference

이제 전위 (electric potential) 에 대한 이야기를 할 차례인데, 전기와 자기 얘기는 이해하기가 참 어려운 부분이라 앞서 글 처럼 손 그림 같은걸 좀 넣을 생각이다. 집사람한테 아이패드 프로를 선물 받았기 때문에 손 그림을 넣는건 아니다. 그리고 이제부터 할 내용은 전압 전류 저항 같은 아주 익숙한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만큼, 뭐랄까, 똑같이 어렵다. 근데 눈에 보이지도 않는 이 개념들을 가지고 우리 손에 들고 있는 스마트폰부터 엄청난 무게의 지하철까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는건, 정말 문득문득 새삼스러울만큼 신기한 일이다. 질량이 있고, 질량 사이에는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그 힘을 다루면서 중력장 에 대한 얘길 했고, 질량에 해 준 일의 개념에서 에너지를 ..

일반물리 2023.02.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