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3

[002] 상대성 이론 - 아인슈타인 이전

[002] - 아인슈타인 이전 -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 - 로렌츠 변환 - 상대론적 운동량과 에너지 - 일반상대론 의 순서로 상대성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자. [002-01] 갈릴레이 상대성 원리 상대론 하면 아인슈타인이 생각나는게 이제 당연하지만, 시작은 유명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였다. (갈릴레이 시절에 자동차는 없었지만,) 같은 실험을,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자동차 안에서 실행 했을때와 정지해있는 자동차에서 실행 했을때의 결과가 같아야 한다. 는 것이 그 내용이고, 이걸 어려운말로 쓰면 책에 나오는 표현이 된다. The laws of mechanics must be the same in all inertial frames of reference. 모든 관성계에서 역학의 법칙은 반드시 같아야 ..

일반물리 2020.02.04

[001] 현대물리의 시작

[001-01] 현대물리(Modern Physics)라는 단어를 적용하는 정확한 시기가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20세기 초에 정립된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및 이들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물리학을 통칭 “현대 물리학”이라고 표현한다. [001-02] 19세기 말 (1800 년대 후반)의 과학자들은 그 이전부터 정립되어 온 아래 이론들을 바탕으로 자연에 대한 대부분의 것들을 알게 됐다고 믿었다. - 뉴턴의 세 가지 운동법칙 - 역학 (Mechanics) - 만유인력 이론 - 열역학 - 맥스웰 방정식 (전기와 자기의 통합) - 광학이론 [001-03] 20세기가 시작되는 1900년 (물론 이전부터 연구되어 오던 중이지만,) 막스 플랑크가 양자이론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양자가설), 1905년 아인슈타인..

일반물리 2020.02.04

[000] 일반물리

[000-01] 취미로, 잊지 않을만큼 공부하는 수준으로, 대학교 1학년 일반물리(대학물리) 내용을 정리 해 볼 생각으로 시작했다. [000-02] 주 교재는 아래의 책 이고, 보통 "Serway 일반물리(대학물리)" 라고 부른다.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9th Edition, Serway/Jewett [000-03]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위 교재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는 내용을 미리 가져다 붙일 생각은 없다. 사실 이 책에 설명되어 있는 내용만 잘 알기도 어렵다. [000-04] 문제풀이는 혼자는 해도 여기에 올릴 생각은 없다. [000-05] 시작은 가장 뒷부분인 현대물리 부터 할텐데, 단위, 측정에 관한 내용으로 시작하는 1장부터 보면 섹션 하나도 안..

일반물리 2020.02.04
반응형